'책갈피'에 해당되는 글 63건

  1. 2012.05.05 기호학 1
  2. 2012.05.05 중도, 중용, 중립
  3. 2012.05.05 자크 데리다
  4. 2012.05.05 구조주의
기호학 / 책갈피
posted by 얄롱얄롱 2012. 5. 5. 00:38

Ⅱ. 기호학이란 무엇인가?

 

"현상에 머무르며 "사실Tatsache(fact)들만이 있을 뿐이다."라고 말하는 실증주의에 대해 나는 이렇게 말하겠다. 아니다, 사실이라는 것은 없다. 단지 해석만이 있을 뿐이다. 우리는 어떤 사실 faktum(fact, reality)도 "그 자체"로 확정할 수 없다." (니체, 1980:315)

 

 

2) 기호학의 핵심 개념들

 

어떤 대상이 특정 의미와 결합될 때, 즉 인식되고 해석될 수 있을 때 그것은 기호sign이 된다. 그 기호는 기호의 '표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는 기표signifier(signifiant)와 그것의 '의미 부분'에 해당하는 기의signified(signifie)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기표에 기의가 결합되는 과정을 '기호화 과정semiosis'이라 하며, 기호학의 중요한 과제 중 하나는 이 기호의 체계와 그것들의 결합 과정을 드러내주는 데 있다.

 

… 해석은 다른 말로 하면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코드'에 의거해 일어난다. 사람들의 해석과 판단이 주체적이고 주관적으로 일어나는 것처럼 보이지만 큰 틀에서 그것들은 정해진 코드에 따라 어느 정도는 규칙적으로 일어난다. 그런 점에서 코드는 '의미 부여ENCODING'와 '의미 해독decoding'을 가능케 하는 기본구조라고 할 수 있다.

 

… 어떤 기표에 의해 직접적으로 대상(에 대한 관념)이 지시되는 것을 '구체적 단순 지시denotation'라 하며, 단순한 지시에 기의가 부가되어 지시되는 것을 '부가의미적 지시connotation'라 한다. '담배'라는 기표에 담배의 관념이 결합되는 것은 '구체적 단순지시'이며, '건강에 해로움'은 부가된 의미이다.

 

 

 

1. 소쉬르(1857~1913) : 구조주의 기호학의 개척자

 

 

"언어는 실질이 아니라 형식이다."

 

 

『일반언어학 강의』의 중심 사상은 언어기호의 '자의성arbitrariness'과 '선형성linearity', 그리고 4가지의 이분법, 즉 '기표signifier와 기의signified', '랑그langue(=언어체)와 빠롤parole(=발화체)', '공시성synchrony과 통시성diachrony', '계열체paradigm와 결합체syntagm'를 통해 잘 나타난다.

 

 

 

 

2. 피어스(1839-1914) : 실용론적 기호학의 개척자

 

그는 존재론적 범주의 3가지 유형으로서

첫 번째는 '표현체representamen'(=기호sign),

두 번째는 '대상object'

세 번째는 '해석작용interpretant'으로 나눈다.

 

이것은 각기 '1차성firstness', '2차성secondness', '3차성thirdness'의 3범주로 구분되는데, 1차성은 "실존이 아니"라 "단순한 논리적 가능성"이며, 2차성은 "존재"이고, 3차성은 "사유하기"이다.(Pierce, 1983:55)

 



 

 

피어스는 '대상'을 커뮤니케이션의 과정에서 생기는 정신적인 '직접적 대상immediate object'과 '역동적으로 작용하는 실제적 대상dynamic-real object'을 구별한다. '직접적 대상'은 의식 속의 '내적' 대상이며, 실재하는 역동적 대상은 외부 세계의 '외적extern' 대상이다. 즉 '직접적 대상'은 소통과정에서 기호 사용자가 지니는 '관념idea'으로서, 해석자가 이 '직접적 대상'을 이전에 경험했기 때문이다.(Pierce, 1983:27,145) 이 '해석작용'은 '기호화 과정'에 의해 다시 첫 번째 구조물인 '표현체'가 되며, 그것의 '대상'과의 관계에서 새로운 '해석작용'을 유발한다. 이런 기호형성 작용은 무한하게 계속되며, 그것은 다음의 도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기호화 과정semiosis>

 

 

3. 리차즈(1893-1979)와 오그든(1889-1957)의 『의미의 의미』

 

4. 야콥슨(1896-1982) : 커뮤니케이션의 기호학

 

5. 옐름슬레우(1899-1965) : '코펜하겐 학파'와 '언어형식학'

 

6. 모리스(1901-1979) : 행동주의 기호학

 

7. 그레마스(1917-1992) : '파리 학파'와 '의미작용'의 기호학

 

8. 롤랑 바르트(1915-1980) : 비언어적 기호학의 개척자

1) 문화이론가, '글 쓰는'사람, 기호학자로서의 롤랑 바르트

2) 신화 : "자연스러움으로 위장된 이데올로기"라는 '2차 체계'

3) 『유행복의 체계』: "본격적 비언어학적 기호론"을 처음으로 적용한 예

  

 

전동열, 《기호학》,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5

중도, 중용, 중립 / 책갈피
posted by 얄롱얄롱 2012. 5. 5. 00:34

중도 [ 中道 ]

 

①중용(中庸)의 도. ②가운데 길. ③일의 중간. ④서울을 중심으로 하여 국경과 중간지점에 있는 도(道).

 

 

* 용례

 

㉠하루를 걸러서 종장을 열고 시무를 시험하였는데, 책의 글제에 이르기를, “임금은 이르노라. 옛날 제왕이 법을 세우고 제도를 정함에 반드시 시의에 인하여 지치를 융성하게 하였으니, 당우와 삼대의 치평을 이룬 도를 들을 수 있는가? 정일집중은 요•순•우가 서로 준 심법이고, 건중건극은 상탕•주무가 서로 전한 심법인데, 정이니 일이니 하는 것은 그 공부가 어떻게 다르며, 집이니 건이니 하는 것은 그 뜻이 어떻게 같은가? 중이라고 말하면 극에는 이르지 못한 것이고, ‘극’이라고 말하면 중에 지나는 것 같으니, 두 가지를 장차 어떻게 절충할 것인가? 읍량하고 정벌하는 것과 문과 질을 손익하는 것이 일과 때가 다른데, 함께 다스림으로 돌아가는 것은 무슨 까닭인가? 한나라와 당나라 이후에서 송나라•원나라에 이르기까지 대마다 각각 다스림이 있는데, 중도에 합하여 말할 만한 것이 있는가?…” 하였다. ; 間一日 開終場 試時務 策題曰 王若曰 古昔帝王 立法定制 必因時宜 以隆至治 唐虞三代 致治之道 可得聞歟 精一執中 堯舜禹相授心法 建中建極 商湯周武 相傳心法 曰精曰一 其功何異 曰執曰建 其義何同 謂之中則未至乎極 謂之極則似過乎中 二者將安所折衷歟 揖讓征伐 文質損益 事與時異 而同歸于治何歟 漢唐以降 迄于宋元 代各有治 其有合乎中道 而可述者歟… [태종실록 권제13, 17장 뒤쪽~18장 앞쪽, 태종 7년 4월 18일(임인)] ㉡궁정에서 옥책을 발부하는 의식.…통사사인이 책사와 부사를 인도하여 배위로 돌아간다. 전의가 ‘재배’라고 하면 책사와 부사 이하 문무백관들은 모두 재배한다. 통사사인은 책사와 부사 이하를 인도하여 밖으로 나간다. 협률랑이 휘를 들어 주악을 시작하면 절을 든 자가 앞서고 조책과 인수를 든 자가 다음 차례로 중도를 통하여 문밖으로 나간다. 절을 든 자가 보자기를 도로 싼다. 책사와 부사가 정문으로 나간 다음 휘를 눕히면 주악이 멎는다. ; 臨軒發冊…通事舍人引冊使副 還拜位 典儀曰再拜 冊使副以下文武百寮凡在位者 皆再拜 通事舍人引冊使副以下出 恊律郞擧麾樂作 持節者前導 持詔冊璽綬者以次 由中道出門 持節者加節衣 使副並自正門出 偃麾樂止 [고려사 권제65, 19장 앞쪽~21장 뒤쪽, 지 19 예 7 책왕비의] ㉢지난해부터 금나라 사람들이 병란과 관련하여 곡식이 고갈되었으므로 저마다 앞을 다투어 보물을 가지고 와서 의주•정주 관문 밖에 미곡을 교역하여 가는데 심지어는 은 1정으로 쌀 4•5석을 바꾸게 되었다. 그러므로 장사꾼들이 다투어 가면서 많은 이익을 얻기 위하여 나라에서 아무리 형벌을 엄격하게 하고 재물을 몰수하여도 탐오가 끝이 없고 밀무역이 계속되었다. 금나라 장수가 군사를 거느리고 관에 와서 책망하기를 왜 전날의 우호관계를 버리고 곡식을 내겠다는 통고를 하지 않느냐 라고 하면서 10여 인을 납치하여 갔다. 그러나 잡혀가던 사람들은 도중에서 탈출하여 돌아왔다. ; 自去年 金人因兵亂資竭 爭賫珍寶 款義靜州關外 互市米穀 至以銀一錠 換米四五石 故商賈爭射厚利 國家雖嚴刑籍貨 然猶貪瀆無厭 潛隱互市不絶 金將率兵 到關責云 何棄舊好 不通告糶乎 乃擄十餘人而去 中道脫還 [고려사 권제22, 6장 앞쪽~뒤쪽, 세가 22 고종 3.윤7] ㉣식년의 정안은 중앙과 경기도는 8월 그믐 이내로, 중도는 9월 그믐 이내로, 원도는 10월 그믐 이내에 각기 마감하여 상송한다. ; 式年正案 京中京畿則八月晦日內 中道則九月晦日內 遠道則十月晦日內磨勘上送 [신보수교집록 형전 공천]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중용 [ 中庸 ]

 

 

유교 경전의 하나. ≪대학(大學)≫ㆍ≪논어(論語)≫ㆍ≪맹자(孟子)≫와 더불어 사서(四書)라고 불렸는데, 송(宋) 나라 때 주희(朱憙)가 ≪예기(禮記)≫ 49편 중에서 ≪대학≫과 ≪중용≫을 떼어내어 ≪논어≫ㆍ≪맹자≫와 함께 사서라고 이름 붙인 데서 연유함. 공자(孔子)의 손자인 자사(子思)의 저작이라는 설과 진한(秦漢) 시대의 어떤 사람에 의해 이루어졌다는 설, 그리고 자사의 저본을 바탕으로 후세의 학자들에 의해 가필되어 완성된 것이라는 설 등이 있어 아직 유력한 정설이 없음. ≪중용≫을 흔히 유교의 철학개론서라 일컫는데, 그 이유는 유교의 철학적 배경을 천명하고 있기 때문임. 신라 원성왕 4년(788)에 관리등용법인 독서삼품과(讀書三品科)를 태학(太學)에 설치할 때 그 과목 중에 ≪예기≫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볼 때, 우리 나라에서는 이미 삼국 시대에 ≪예기≫의 한 편으로서 ≪중용≫을 접하게 된 것으로 추측되며, 그 뒤 고려 말 정주학(程朱學)을 수용한 이후에는 사서의 하나로 ≪중용≫을 매우 존숭하기에 이르렀음. 권근(權近)은 사서에 구결(口訣)을 하였다고 하나 지금은 전해지지 않고 있음. 조선 시대에 들어와서는 모든 유학자들이 ≪중용≫ 연구에 심혈을 기울였는데, 성리학이 바로 ≪중용≫에 근거하고 있기 때문임.

 

 

* 용례

 

공자의 집에 어진 손자가 나서, 마침내 유림의 종이 되었네. 도가 혹시 전해지지 못할세라, 밤이나 낮이나 크나큰 근심. 힘써 그 조부의 본을 받아, 차분하고 자상하게 시종 살폈네. 글을 지어 이 세상에 전수를 하니, 천지에 중용이 있게 되었네. 치우치지 않고 또 기대지 않아, 하늘과 땅 사이에 꽉 들어찼네. 천인이라 성명이라 잠융의 즈음, 성인의 참 공부를 볼 수 있구려. 이 도가 어느 땐들 사라지리요? 묘한 이치 궁극하기 어렵고, 일치고 없는 것이 없어, 광대에다 종용까지 겸비하였네. 세상 사람 그 누가 실천을 했나? 자양 주선생을 나는 보았소. 서문을 지어 그 머리에 실었으니, 책을 펴면 기운이 왕성하구려. ; 孔門有賢孫 乃作諸儒宗 慮道或不傳 日夜憂꟎꟎ 孜孜體乃祖 安詳審始終 著書傳斯世 天地有中庸 不偏復不依 兩間塞而充 潛瀜天性際 可見聖人工 此道何時歇 妙理難可窮 凡事無不有 廣大兼從容 世人誰踐履 我見紫陽翁 作序冠其篇 開卷氣蔚茺 [청장관저서 영처시고 경서 중용]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중립 [ 中立 ]

 

명사

1 . 어느 편에도 치우치지 아니하고 공정하게 처신함.

 

- 중립 노선 

- 중립을 지키다 

- 같은 말도 말하기에 달렸지만, 난 시원해하는 것도 아니고 그저 중립이지.

 

2 . 국가 사이의 분쟁이나 전쟁에 관여하지 아니하고 중간 입장을 지킴.

 

- 중립 국가. 

- 인도네시아는 외교적으로 비동맹 중립 노선을 지켜 왔다. 

- 1954년 콜롬보 회의 이후 비동맹 중립 세력을 결속하려는 움직임이 처음 나타났다.

자크 데리다 / 책갈피
posted by 얄롱얄롱 2012. 5. 5. 00:33

자크 데리다 [ Jacques Derrida ]

 

 

1930∼2004.10.08


프랑스 철학자. 알제리 앨비아르 출생. 해체철학의 대표적인 철학자.


1930년 알제리에서 태어나 고등학교를 마칠 때까지 그곳에서 성장했다.어머니가 아랍계 토착 유대인이어서 2차 세계대전 중의 나치 정권 아래 퇴학 조치를 비롯한 여러 인종 차별을 경험했다.


프랑스에서 에콜 노르말 쉬페리외르 철학과를 졸업하고 60∼64년 소르본대학, 65년 이후에는 모교에서 철학을 가르쳤다. 1983년 국제철학학교를 창설,초대 교장을 역임하고 현재는 파리 사회과학고등연구원 철학과 주임교수로 재직중이다.


데리다는 70년대 이후 현실문제에도 적극 참여, 1979년 6월 소르본 대학에서 1200여 명의 지식인이 모여 교육과정 개편에 항의하는 '철학삼부회의'에서 그는 ""이 나라에서 철학 영역이 제한 받는다면 비판적 능력을 갖춘 사람이 그만큼 없어지는 것을 의미한다.""고 역설했다. 


1980년 폴란드의 위기가 최고조일 때, 체코의 프라하에서 77현장 멤버들과 접촉하다 체포되어 48시간 동안 구금된 적도 있다. 만델라 구명운동과 '반 아파르트헤이트'전도 기획했다. 


예술가들과도 교류해 미국 건축가 피터 아이스만과 함께 공원을 설계하고,비디오아티스트 게리 힐의 작품에 출연하기도 했다.90년대 들어서는 <마르크스의 유령> 등 기아,인종주의, 핵문제 같은 현실문제에 대한 저서를 잇따라 내놓고 있다.


데리다의 철학은 '해체(解體:Deconstruction)'와 '차연(差延:differance)'이란 개념으로 유명하다.


데리다는 서양철학이 대부분 궁극적인 형이상학적 확실성이나 의미의 근원을 모색해 왔음을 비판, 어떤 확립된 철학이론을 갖는 것을 피하고 언어의 기호체계가 자의적인 것이라는 인식 아래 해체의 방법을 통해 언어를 분석, 서양철학의 기본개념을 재검토하려 하였다. 


또한 '차연'이라는 개념을 도입했는데, '차연'은 '다르다'와 '연기하다'라는 말의 합성어이다. 즉 어떤 단어의 의미라는 것은 한 단어(기표)에서 다른 단어(기표)로의 이동에 지나지 않으며 존재하는 동시에 그 실체는 허상인 것이다. 또한 한 단어의 의미는 다른 개념과의 대비('상호텍스트적 의미')속에서 비로소 생성이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어떤요소의 개념이나 의미보다 그 요소를 둘러싸고 있는 다른 요소들과의 차이와 접목의 맥락을 파악함이 더 중요하다.


저서로 <글쓰기와 차이>, <목소리와 현상>, <그라마톨로지>, <산종>, <철학의 여백> 등이 있다.


데리다의 '해체주의'는 철학 뿐 아니라 문학, 건축, 시각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까지 확산되고 있다.

구조주의 / 책갈피
posted by 얄롱얄롱 2012. 5. 5. 00:32

구조주의 [ Structuralism ]

 

 

1950년대 프랑스에서 새로이 형성된 '구조주의(Structuralism)'는 언어학, 기호학, 정신분석학, 민족학, 문화비평, 사회학, 역사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형성된 사상적 조류이다. 


구조주의는 철학에서 늘 기본적인 대립항으로 인식되어 왔던 대상(세계, 사물, 물체, ... )과 주체(의식, 영혼, 마음, ... )의 이분법을 버리고, 인식대상(언어, 친족, 신화 등)의 '구조(le structure)'와 그 항들 사이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러한 구조주의자들의 방법론은 기호학, 인류학과 같은 표시체계를 비롯하여, 기존에 자명한 것으로 여겨졌던 모든 종류의 관습적인 것들을 다른 시각으로 바라보려는 사고의 전환을 가져다주었다. 


소쉬르(Ferdinand de Saussure, 1857-1913)는 구조주의 언어학의 개척자로, 언어를 '기표'와 '기의'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자족적인 기호의 체계로 이해한다. 이때 기의는 자족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기표에 의해 의미를 부여받는 존재로 여겨지는데, 이러한 발상의 전환이 개인의 주체성을 부정하고, 개인을 그들이 속해있는 사회나 문화 체계 안에서 창조되는 것, 즉 구조의 효과로 보는 구조주의를 태동시켰다. 


인류학자 클로드 레비 스트로스(Claude Levy-Strauss, 1908-1991)를 중심으로 발전한 구조주의 문화인류학은 문화를 하나의 체계로 보고 그 체계를 이루는 구성요소들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바탕으로 문화를 분석한다. 


구조주의 철학은 소쉬르의 언어학, 레비 스트로스의 구조주의 인류학 등의 영향을 받아 인간이 언어구조·무의식 등에 의해 구성된 존재임을 밝힘으로써 종래의 인간중심 사고를 거부한다. 즉 인간을 세계의 중심·주인으로 보고 그가 사물들 전체를 규정하고 그것들에 의미를 부여한다고 상정하는 관점(인간을 신의 대리인으로 보는 관점)을 비판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구조주의 자들은 주체나 객관성이라는 용어보다는 구조나 주관성과 같은 용어를 더욱 선호한다. 즉 어떠한 대상이 의미를 자신의 내부에서 찾는 것이 아니라, 관찰자에 의해 구성되는 대상들의 관계와 구조 속에서 의미를 '부여'받는다는 것이 구조주의의 기본적인 개념이다. 


소쉬르나 레비-스트로스 외에도 푸코(Michel Foucault, 1926-1984), 라깡(Jacques Lacan, 1901-1981) 등을 대표적인 구조주의자로 볼 수 있는데, 구조주의는 명확한 형태를 갖춘 사상이 아니기에 이들 철학자 사이에서 공통된 의견을 찾아보기는 힘들다. 


구조주의 사유체계는 1960년대 후반부터 70,80년대 인문 사회과학의 거의 전분야에 걸쳐서 유행하였는데, 80년대 후반에 들어서는 구조주의에 대한 비판이 일어나고 탈구조주의, 해체주의 등이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