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크 데리다 / 책갈피
posted by 얄롱얄롱 2012. 5. 5. 00:33

자크 데리다 [ Jacques Derrida ]

 

 

1930∼2004.10.08


프랑스 철학자. 알제리 앨비아르 출생. 해체철학의 대표적인 철학자.


1930년 알제리에서 태어나 고등학교를 마칠 때까지 그곳에서 성장했다.어머니가 아랍계 토착 유대인이어서 2차 세계대전 중의 나치 정권 아래 퇴학 조치를 비롯한 여러 인종 차별을 경험했다.


프랑스에서 에콜 노르말 쉬페리외르 철학과를 졸업하고 60∼64년 소르본대학, 65년 이후에는 모교에서 철학을 가르쳤다. 1983년 국제철학학교를 창설,초대 교장을 역임하고 현재는 파리 사회과학고등연구원 철학과 주임교수로 재직중이다.


데리다는 70년대 이후 현실문제에도 적극 참여, 1979년 6월 소르본 대학에서 1200여 명의 지식인이 모여 교육과정 개편에 항의하는 '철학삼부회의'에서 그는 ""이 나라에서 철학 영역이 제한 받는다면 비판적 능력을 갖춘 사람이 그만큼 없어지는 것을 의미한다.""고 역설했다. 


1980년 폴란드의 위기가 최고조일 때, 체코의 프라하에서 77현장 멤버들과 접촉하다 체포되어 48시간 동안 구금된 적도 있다. 만델라 구명운동과 '반 아파르트헤이트'전도 기획했다. 


예술가들과도 교류해 미국 건축가 피터 아이스만과 함께 공원을 설계하고,비디오아티스트 게리 힐의 작품에 출연하기도 했다.90년대 들어서는 <마르크스의 유령> 등 기아,인종주의, 핵문제 같은 현실문제에 대한 저서를 잇따라 내놓고 있다.


데리다의 철학은 '해체(解體:Deconstruction)'와 '차연(差延:differance)'이란 개념으로 유명하다.


데리다는 서양철학이 대부분 궁극적인 형이상학적 확실성이나 의미의 근원을 모색해 왔음을 비판, 어떤 확립된 철학이론을 갖는 것을 피하고 언어의 기호체계가 자의적인 것이라는 인식 아래 해체의 방법을 통해 언어를 분석, 서양철학의 기본개념을 재검토하려 하였다. 


또한 '차연'이라는 개념을 도입했는데, '차연'은 '다르다'와 '연기하다'라는 말의 합성어이다. 즉 어떤 단어의 의미라는 것은 한 단어(기표)에서 다른 단어(기표)로의 이동에 지나지 않으며 존재하는 동시에 그 실체는 허상인 것이다. 또한 한 단어의 의미는 다른 개념과의 대비('상호텍스트적 의미')속에서 비로소 생성이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어떤요소의 개념이나 의미보다 그 요소를 둘러싸고 있는 다른 요소들과의 차이와 접목의 맥락을 파악함이 더 중요하다.


저서로 <글쓰기와 차이>, <목소리와 현상>, <그라마톨로지>, <산종>, <철학의 여백> 등이 있다.


데리다의 '해체주의'는 철학 뿐 아니라 문학, 건축, 시각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까지 확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