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어에 기원을 둔 음경을 뜻하는 라틴어로, 고대에는 생산적인 힘에 대한 은유로 사용되었다. 정신분석에서 이 단어는 해부학적 의미와 상징적 의미를 가진다. 해부학적으로, 이것은 태아의 성기로부터 발달해 나온 남성의 음경과 여성의 음핵을 나타낸다. 상징적 의미에서, 남근적이라는 형용사는 강하고, 자기 주장을 할 수 있고, 공격적이고, 힘 있는(상징적으로) 성격 특질을 묘사하는데, 이것들은 일반적으로 여성적인 것과 대조되는 남성적인 것을 뜻한다. 남근을 나타내는 많은 상징의 변형들이 있다. 남근이라는 용어는 정신분석에서 일반적으로 아래에서 제시되는 맥락에서 사용된다.
남근기는 성별과 상관없이 남근이 일차적 성감대가 되는 심리 성적 발달의 한 단계를 나타낸다; 이것은 약 2세 경에 시작하여 다음 단계인 오이디푸스 시기로 확장된다. 이 시기에 남아와 여아의 발달적 경로가 갈라진다.
남근적 자기애는 음경의 자극에 기초한 자기 만족감을 나타낸다. 남아에게 있어서 성 차이의 발견은 남근적 자부심으로 인도하는데, 이는 거의 경조증적 자신감과 총, 칼, 비행기, 경주용 차와 같은 장난감 그리고 남근을 상징적으로 찬양하는 게임과 환상들에 몰두하는 등의 모습으로 나타난다. 이런 놀이에서 공격성은 성욕보다 우세하다. 그것의 목표는 해소라기보다는 자기-강화라고 볼 수 있다. 이런 태도와 활동들은 또한 거세 불안에 대한 방어이며, 그것을 과보상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남아들은 여아들에게 남근이 없다는 이유로 그들을 두려워하고 평가절하한다. 오이디푸스 시기로 넘어가는 동안 자기애적 과대평가가 보다 대상 지향적인 리비도 표현으로 변화되는 것이 사실이지만, 남근적 자기애는 남근적 성격을 지닌 성인의 삶 속에서 지속되기 쉽다.
남근적 인격 또는 남근-자기애적 인격은 오이디푸스 시기의 불안을 방어하기 위해 형성된 성격 구조이다. 이런 개인은 무의식적으로 자신의 신체를 남근으로 인식하고 남근적 특성들을 종종 신체적 특성으로 인식한다. 예를 들어, 그/그녀는 무의식적으로 사정과 토하기를 동등시하거나, 오고 가는 것은 성교에서 음경이 들어가고 나가는 움직임과 동등시한다. 이런 증상은 여성보다는 남성에게서 더 자주 발견된다. 여기에는 종종 과장되고 과시적인 자신감과 오만한 태도; 쉽게 상처입고 우울해지는 허영심; 여성에 대한 경멸과 공포; 대상 리비도보다 자기애적 리비도가 우세한 것; 반동 형성의 상대적 부재; 음경을 사랑보다는 공격성의 도구로 보는 것; 그리고 무모함이 포함된다. 이런 특질들 근저에는 과보상된 구강기적 의존성과, 오르가즘에 도달하지 못하는 무능력을 감추고 있는 발기 능력에 대한 자부심이 놓여 있다. 또한 거세 불안과 페니스 선망이 다른 남성에게로 향하기 때문에 잠재적인 동성애가 강화될 수 있다.
남근적 어머니는 어머니가 남근을 소유하고 있다는 무의식적 환상으로서, 이는 남근기 초기에 유아는 모든 사람이 남근을 가지고 있다는 보편적인 환상을 갖는다는 생각에 기반을 둔 것이다. 남성과 여성의 해부학적인 차이가 발견될 때, 이 환상은 어머니가 남근을 갖고 있지 않다는 사실을 인식하는 것에 대한 방어로 사용된다. 이런 인식이 방어되는 이유는 이 시기에 남근의 결여는 곧 거세되었음을 암시하기 때문이다. 오이디푸스 시기에 이 환상은 바뀔 수 있다. 아동은 차츰 남근적 어머니 대신에 아버지의 남근을 소유하고 있는 어머니에 대한 환상을 갖게 된다. 남근에 대한 여아의 소망은 어머니와의 경쟁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나중에 성인의 삶에서 남근적 어머니에 대한 환상은 다른 여성에게로 전치된다. 그와 같은 투사를 받는 여성은 남성적이고 공격적인 여성으로 인식된다; 이때 그녀는 두려움의 대상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거세 불안을 일으키는 소망을 방어해주는 대상이기도 하다.
남근 중심적이란 말은 인간의 성 태도와 성 행동, 특히 남성적인 것과 여성적인 것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주는, 남근의 중요성을 과장하는 편향된 관점을 지칭한다. 이 용어는 일반적으로 프로이트의 언급(1932)에 포함된 이론적 관점을 비판할 때 사용된다“: 양쪽 성에 있어서 오직 하나의 성기, 즉 남성의 것이 중요해진다. 따라서 문제가 되는 것은 성기의 중요성이 아니라 남근의 중요성이다”(p. 142). 이런 프로이트의 초기 사고는 여아들이 일차적 여성성을 갖고 있다는 증가하는 증거에 의해 반박되고 있다.
참고문헌
Edigcumbe, R. & Burgner, M. (1975). The phallic narcissistic phase. PSOC, 30:161-180. Freud, S. (1923). The infantile genital organization. SE, 19:139-145. Jones, E. (1933). The phallic phase. IJP, 14:1-33. Lewin, B. D.(1933). The body as phallus. PQ, 2:24-47.
Reich, W. (1933). Some circumscribed character forms. In Character Analysis. New York: Orgone Institute Press, pp. 200-207.
자아 이상 [ EGO IDEAL ]
프로이트가 나중에 사용한 초자아(superego)라는 용어와 같은 의미로 초기에 사용했던 용어. 자아 이상은 양심(자기-관찰과 자기-비평을 포함하여)으로 알려진 도덕적 규범, 꿈에서 작용하는 검열 기능, 현실 검증(나중에 자아 기능의 일부로 간주되는), 자기 자신에 대한 모범적이고 이상적인 기대 등의 기능들을 지닌 정신적 대리자를 일컫는다.
오늘날 대부분의 분석가들은 자아 이상을 초자아 기능의 일부로 간주한다. 다수의 정신분석 저자들은 “자기에 대한 이상적 개념”과 “사랑대상이 이상화되는 특성”을 자아 이상이 원래 갖고 있는 두 개의 주된 부분으로 본다. 자기심리학자들은 자아 이상의 이 두 측면을 “과대 자기”(grandiose self)와 “이상화 대상”(idealized object)이라고 부른다. 또 다른 학자들은 자아 이상이란 삶의 시작부터 그리고 전 생애에 걸쳐 분화되어가는 수없이 많은 이상적인 표상들을 가리킨다고 강조한다. ⑴ 이상적 대상(ideal object)—숭배되고, 이상화되고, 전능한 대상; ⑵ 이상적 아이(ideal child)—아이가 생각할 때, 부모가 가장 좋아하는 사랑스러운 아이(나중에 이 표상은 “아동의 이상적인 자기 표상”의 일부분이 된다); ⑶ 이상적 자기(ideal self)—“그렇게 되고 싶은 나의 모습”으로서, 이것은 대상으로부터 최대의 인정을 이끌어내고, 최대의 자기애적 만족을 제공하며, 자기를 향한 공격성의 방출을 최소화한다; ⑷ 이상적 관계(ideal relationship)—최상의 관계에 대한 소망적 표상. 자아 이상의 이 네 번째 측면에는 바라는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해야 하거나 피해야 하는 행동들의 목록이 포함된다. 이러한 다양한 표상들은 개인이 타인의 기대에 얼마나 잘 부응하는지를 측정할 수 있는 기준이 된다. 그것들은 또한 실패에 따르는 불쾌한 정동의 성질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된다.
자아 이상 또는 초자아의 기능에서 비롯되는 주요 정동인 수치심과 죄책감은 종종 중복되는데, 이것은 몇 가지 일반적인 특징들을 갖고 있다. 수치심은 자기 이미지를 보호하고, 죄책감은 대상을 보호한다. 수치심은 일차적으로 자기의 실패, 취약성, 또는 결점, 즉 자랑스럽게 자기 자신을 볼 수 없는 무능력과 관련 되는 반면, 죄책감은 다른 사람에 대한 공격, 즉 다른 사람에게 “이상적”으로 행동하지 못했다는 생각과 관련된다.
자아 이상을 나타내는 표상은 동일시—이상화된 부모와 자기 이미지 모두와의—에 토대해 있다. 하지만 자아 이상은 동일시 대상과 근본적으로 반대되는 쪽으로 발달할 수도 있다. 그러한 탈동일시(disidentification) 또는 부정적인 정체성(negative identity)은 이상과 가치라는 초자아 영역과 자아 영역간의 체계 내적 갈등을 반영한다. 그와 같은 갈등이 심하면, 정체성 병리가 나타날 수 있다. 분열된 정체성은 종종 충동적 행동, 드물게는 다중 성격 그리고 이인증증상 등을 나타내기도 한다.
자아 이상은 자아가 발달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몇몇 병리적 상태에서는 융합 환상이나 과대적 야망과 같은 원초적 욕동으로부터 오는 초기의 이미지들이 지속적으로 나타나서 자아 이상의 형성을 저해하기도 한다. 그러한 병리로 인해 개인은 심한 자기애적 손상(narcissistic injury)을 입게 되고 분노, 수치, 우울, 불안과 같은 원초적 정동뿐만 아니라 시기, 질투, 앙심, 경멸과 같은 자기애적 정동의 파생물에도 취약하게 된다. 라이히(A. Reich, 1954)는 거친 성적 이상(crude sexual ideals), 불안정한 자아 경계, 소망과 현실간의 혼동 등의 요소를 포함하는 병리적 상태에서 가학적인 초자아 전조와 원초적인 자아 이상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지적했다.
참고문헌
Erikson, E. H. (1956). The concept of ego identity. JAPA, 4:56-121. Freud, S. (1914). On narcissism. SE, 14:67-102. Hartmann, H. & Loewenstein, R. M. (1962). Notes on the superego. PSOC, 17:42-81. Holder, A. (1982). Preoedipal contributions to the formation of the superego. PSOC, 37:245-272. Jacobson, E. (1964). The Self and the Object World. New York: Int. Univ. Press. Kohut, H. (1971). The Analysis of the Self. New York: Int. Univ. Press. Piers, G. & Singer, M. B. (1953). Shame and Guilt. Springfield: Thomas; new ed., New York: Norton, 1971. Reich, A. (1954). Early identifications as archaic elements in the superego. JAPA, 2:218-238. Reich, A. (1960). Pathologic forms of self-esteem regulation. PSOC, 15:215-232. Sandler, J., Holder, A. & Meers, D. (1963). The ego ideal and the ideal self. PSOC, 18:139-158.
Wurmser, L (1981).The Mask of Shame.Baltimore: Johns Hopkins Univ. Press.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 OEDIPUS COMPLEX ]
성별과 관계없이 본능적 욕동, 목표, 대상관계, 공포, 동일시 등으로 구성된 심리적 집합체를 가리키는 용어로서, 이것은 일반적으로 남근기(2세-6세 6개월) 동안에 나타났다가 해소된다. 그러나 이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는 완전히 없어지는 것이 아니라 생애 전반에 걸쳐 무의식적 조직자로 계속 남는다. 남근기 동안 아동은 반대 성을 지닌 부모와 성적으로 결합하려고(아동의 인지능력에 따라 다양하게 상상된 환상과 함께) 애쓰며, 동성의 부모가 죽거나 사라지기를 바란다. 아동의 타고난 양가성과 보호받아야 할 필요성 때문에 아동의 긍정적인 오이디푸스적 분투는 소위 부정적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와 공존하게 된다. 즉 아동은 같은 성을 지닌 부모와 성적으로 결합하기를 바라며, 동시에 반대 성을 지닌 부모와경쟁하고자 한다. 전형적으로, 긍정적인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는 이성애 성향을 형성하고 잘 적응하는 성인과 동일시하는 과정을 통해서 부정적인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능가하게 된다. 그러나 무의식적 수준에서, 여아가 어머니와의 유대감을 유지하려는 소망과 남아가 아버지에게 복종하려는 소망은 심리적 생활과 이후의 대상 선택에 지속적으로 깊은 영향을 미친다.
융은 남아뿐만 아니라 여아에게도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에 해당하는 것이 있다고 보았고, 이를 엘렉트라 콤플렉스라고 불렀다. 그러나 프로이트는 이 용어가 불필요하다고 보았다.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라는 용어는 현재 아동의 성별과 상관없이 아동과 부모 사이의 삼각관계를 지칭하는 보편적인 용어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오이디푸스기의 아동은 근친상간과 부모 살해에 대한 소망을 가지며, 이로 인해 보복 당할 것을 두려워한다. 특히 소년은 거세 될 것을 두려워하며, 여아는 정도 차이는 있지만 성기와 자궁에 손상을 입을 것을 두려워한다. 이러한 공포는 부모와 관련된 보다 원시적인 두려움, 즉 대상 상실 및 대상 사랑의 상실과 합쳐진다. 비록 현대의 정신분석가들이 여아가 남아보다 자기애적 취약성과 의존성을 더 많이 보인다는 프로이트의 견해를 반박하고 있지만, 대상 사랑의 상실에 대한 두려움은 여아에게서 더 심각한 것으로 경험될 수 있다.
발생학적으로 또는 발달적으로, 오이디푸스 시기는 초자아가 형성되고 공고화되는 중요한 시점이다. 아동은 이때 오이디푸스 대상과 동일시하는데, 그로 인해 이상화는 자아 이상으로 바뀌며 처벌에 대한 두려움은 죄책감으로 바뀌게 된다. 지형학적 이론에서 볼 때, 이 콤플렉스는 보통 부분적으로만 의식적이다. 즉 이것은 아동의 말과 행동 그리고 다른 의사소통 양식에서 분명히 드러난다. 성인기 동안에는 거의 의식되지 않지만, 콤플렉스가 해결된 정도에 따라 행동, 태도, 대상 선택 등에서 어느 정도 드러난다. 또한 이것은 성격구조, 대상관계의 질, 성 정체성, 환상 내용 그리고 후에는 성적 행동의 유형에도 영향을 미친다.
무의식, 유아 성욕,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는 프로이트가 발견한 근본적인 개념들이다. 그는 1896년 아버지가 세상을 떠난 후에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이론을 세우기 시작했으며, 14년에 걸쳐 현재의 형태로 완성하였다. 프로이트가 이 이론을 발달시킨 것은 성인이 아동을 성적으로 유혹했다는 과거의 사실을 강조한, 초기 신경증 이론이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였으며, 동시에 자신의 정신분석학을 새로운 과학으로 확립하기 위해서였다. 자기 자신과 가족들의 히스테리증상을 발견한 그는 깊은 내적 성찰의 기간을 가졌으며, 이를 자가분석이라고 불렀다. 그는 1897년 10월 15일에 플리쓰(William Fliess)에게 보낸 편지에서, 자신의 발견을 다음과 같이 서술했다. “나는 나 자신도 어머니를 사랑하고 아버지를 질투한다는 것을 발견했소. 그리고 이제 이것이 초기 아동기의 일반적인 현상이라고 생각하고 있소… 모든 사람들은 한때 신화 속의 오이디푸스가 되는 시기를 거친다고 생각하오”(Freud, 1887-1902, p. 223). 프로이트가 『꿈의 해석』(1900)에서 처음으로 이 이론을 발표했을 때, 그는 자기 자신과 다른 사람들의 꿈을 인용하여 모든 사람에게 있는 무의식적 소망과 오이디푸스 신화를 연결시켰다.
소포클레스(Sophocles)의 오이디푸스 왕 이야기에 나오는 고 전적 신화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테베(Thebes)의 왕인 라이우스(Laius)는 앞으로 태어날 자신의 아들이 자신을 죽일 것이라는 신탁의 경고를 받는다. 여왕인 조카스타(Jocasta)가 아들을 낳자, 왕은 아이를 산에다 버려 죽게 하라고 명령한다. 양치기가 아이를 발견하고 폴리부스(Polybus) 왕에게 갖다 주었고 왕은 아이를 길렀다. 오이디푸스가 청년이 되었을 때, 코린스(Corinth)를 떠나 가다가 갈림길에서 우연히 라이우스를 만나게 된다. 누가 길을 먼저 갈 것인지를 놓고 다투다가 오이디푸스는 자신의 아버지인 왕을 죽인다. 다음에 오이디푸스는 스핑크스(Sphinx)에게 갔는데, 스핑크스는 테베로 가는 길을 막고 모든 여행자에게 수수께기를 내서 그것을 풀면 통과하게 하고 풀지 못하면 목숨을 빼앗는다. 오이디푸스는 수수께끼를 풀었고 스핑크스는 치욕으로 스스로 목숨을 끊는다. 이 일을 감사히 여긴 테베의 사람들은 오이디푸스를 왕으로 추대하고 조카스타와 결혼을 시켰다. 그러나 신들은 모르고 하는 것일지라도 근친상간을 용서할 수 없었으며, 따라서 테베에 전염병을 퍼뜨린다. 그리고 신탁에 따라 라이우스의 살해자를 찾으면 그 상으로 전염병을 거두겠다고 한다. 이야기가 전개되면서, 오이디푸스는 범죄자를 찾아 도시를 구하겠다고 맹세하지만, 자신이 살해자이고 어머니와 결혼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비극적 결말에서, 조카스타는 목을 매어 자살하고 오이디푸스는 옷을 조이는데 쓰던 브로치로 스스로 눈을 시력을 잃고 만다.
프로이트의 전기 작가들에 의하면, 프로이트가 오이디푸스 신화의 다양한 변형판들을 알고 있었는지는 확실치 않다. 그러나 이후 신화의 정신분석적 적용에서는 신을 거역한 아버지 라이우스의 오만이 그에게 끔찍한 운명을 가져왔음을 강조한다. 테베의 젊은 후계자로서 라이우스는 왕관을 빼앗으려는 삼촌에게서 도망친다. 여행 중에 그는 자신이 펠롭스(Pelops) 왕의 보호를 받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그러나 라이우스가 펠롭스 왕의 사생아를 유괴하여 동성애를 하자, 이제까지 그의 주인이었던 펠롭스 왕은 자신의 환대와 부성을 모욕한 라이우스에게 보복을 가한다. 펠롭스는 제우스(Zeus), 헤라(Hera)와 함께 아버지됨의 신성한 가치를 모욕했다는 이유로 라이우스에게 저주를 내린다. 그들은 그에게 아들에 의해 살해되고 아들이 그의 부인의 남편이 되는 운명을 부여했다. 프로이트가 신화를 이야기 형식으로 전개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이야기의 배경을 생략함으로써, 그의 추종자들로 하여금 이야기 속의 “긍정적인” 오이디푸스 요소와 그와 관련된 갈등을 지나치게 강조하게 만든 반면, 동성애적 동기와 부모 살해 동기 그리고 부모 살해와 짝을 이루는 유아살해 동기를 간과하게 만들었다는 견해가 있다. 이후 프로이트는 자신의 사례사와 자서전적인 글(그의 저서인 꿈의 해석에 실려있는)에서 오이디푸스 드라마에 대한 자신의 이해를 정교하게 다듬고 교정하였다.
많은 용어들이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와 관련되어 있다. 일부 저자들은 오이디푸스 단계가 발달적으로 남근 단계(2세-6세 6개월)와 같다고 생각하는 반면, 다른 사람들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가 역동적인 구조로 형성되는 시기인 남근 단계의 말기에 이 용어를 적용한다. 이 기간 동안, 남근적 목표는 자기애적 몰두가 아니라 특정 대상을 지향한다. 즉 원본능,자아, 초자아로부터 오는 요구들을 포함하는 심리내적 갈등에 매인다. 그리고 이러한 갈등은 억압을 위시한 수준 높은방어 수단에 의해 다루어진다. 남근기적 노력 그 자체, 삼각관계적인 대상관계 그리고 이러한 것들이 뿌리를 내리는 정신 구조는 발달상의 전조들을 갖는다. 연구자들은 전오이디푸스적 성기 조직(a preoedipal genital organization), 일차적 여성성과 남성성(primary femininity and masculinity), 부모에 대한 아동의 야망(parental ambitions), 거세 반응(castration reactions) 등의 요소들이 모두 남근기-오이디푸스 단계 이전에 출현한다고 주장한다. 일부 연구자들은 유아가 생후 2년에 이미 어머니와 아버지의 성 차이를 알고 있으며, 성과 관련된 전형적인 갈등과 경쟁을 보인다고 추정하였다.
또한 개인의 오이디푸스적 조직은 전생애에 걸쳐, 특히 청소년기에 수정된다는 사실은 주목할 필요가 있다.
오이디푸스 갈등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에서 특징적으로 드러나는 다양한 갈등들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원본능에서 유래된 성적 연합의 충동은 자아 및 초자아의 구속과 갈등을 빚으며, 그 결과 거세 불안이 나타난다. 더욱이,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긍정적 국면과 부정적 국면, 욕동의 적극적 목적과 수동적 목적, 성적 연합 환상에서의 남성적 동일시와 여성적 동일시 등에는 본질적으로 갈등이 내재해 있다. 그리고 이런 갈등들은 서로 상승 작용을 일으킨다. 예를 들어, 아버지로부터 보복 받을 것이라는 공포인 거세 불안에는 아버지로부터 아기를 얻고 싶은 소망으로 인한 거세 불안이 덧붙여질 수 있다. 설명을 위해 갈등들을 특정 한 단위로 분리하는 것이 가능한 것은 사실이지만, 체계간 및 체계내 갈등들은 서로 얽혀 있다. 게다가 초기와 후기의 발달적 압력과 결함은 항상 중요한 문제가 되는데, 이것들은 오이디푸스 투쟁으로 인해 감추어질 수도 있고, 오이디푸스 투쟁을 가로막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결국 언어 이전의 현상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와 여기에 수반되는 인지 및 언어 양식에 의해 형태를 갖추게 되며 접근이 가능해진다. 많은 분석가들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가 임상적 분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믿는다.
오이디푸스적 승리와 오이디푸스적 상황이라는 두 가지 용어가 임상적 토론에서 자주 쓰인다. 오이디푸스적 승리는 아동이 반대성의 부모로부터 많은 사랑과 관심을 받을 때 발생한다. 예를 들어, 가족 중 가장 공격적인 사람인 어머니가 아들을 떠받드는 한편, 남편의 남성성을 경멸할 수 있다. 오이디푸스 승리의 또 다른 예는 아동기 동안 동성의 부모가 죽는 경우에서 찾을 수 있다. 많은 저자들, 특히 존스(Ernest Jones, 1949)는 햄릿과 오이디푸스에서 억압되고 의식적으로 받아들일 수 없는 소망을 “만족”시킴으로써 초래되는 비극적이고 치명적인 결과를 묘사하였다. 오이디푸스 상황이라는 용어는 막연히 오이디푸스 단계, 오이디푸스 갈등 그리고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느슨하게 지칭하는 말이다. 이것은 특정 개인의 자위 환상과 가족 로맨스에서 드러나는 바, 그 개인이 머물러 있는 심리 발달 단계를 보여준다. 또한 이 용어는 오이디푸스 단계에서 비롯된 환상, 감정, 행동을 불러일으키는 현재 삶의 상황이나 사건을 가리키는데 사용되기도 한다.
참고문헌
Atkins, N. (1970). The Oedipus myth, adolescence, and the succession of generations. JAPA, 18:860-875. Blos, P. (1984). Son and father. JAPA, 32:301-324. Devereux, G. (1953). Why Oedipus killed Laius. IJP, 34:132-141. Freud, S. (1887-1902). Letters to Whlheim Fliess. New York: Basic Books, 1954. Freud, S. (1900). The interpretation of dreams. SE, 4-5. Freud, S. (1924). The dissolution of the Oedipus complex. SE, 19:173-179. Jones, E. (1949). Hamlet and Oedipus. New York: Norton. Kanzer, M. (1948). The “passing of the Oedipus complex” in Greek drama. IJP, 29:131-134. Kanzer, M. (1964). On interpreting the Oedipus plays. Psychoanal. Study Society, 3:26-38. Loewald, H. W. (1959). The waning of the Oedipus complex. JAPA, 27:751-756. Rose, H. (1928). A Handbook of Greek Mythology. London: Methuen.
Sophocles.The Oedipus Cycle, tr. D. Fitts & R. Fitzgerald. New York: Harcourt, Brace & World, 1969.
그녀가 과거의 모든 것을 던져버린다면, 과거의 모든 것을 불살라버린다면, 그때야말로 비로소 그녀는 자기 스스로에게 도달 할 수 있으리라. 그녀의 왕국이 도래할 것이다. 그리고 그 왕국이 찾아왔을 때, 그녀는 이미 타인의 척도로는 측정될 수도 없고, 평가 받지도 않을 것이다. 그녀의 왕국에는 새로운 척도가 효력을 발할 것이다. ―그때에는 아마도―그녀는 이러이러하다든가, 매력이 있다, 매력이 없다, 이성적이다, 비이성적이다, 정숙하다, 부정하다, 행실이 얌전하다, 또는 거침이 없다, 접근이 어렵다든가, 불장난을 좋아한다, 등등의 방법으로는 말해질 수 없을 것이다.